인테리어 공사했을 때 설치했던 간접 조명 불이 한꺼번에 나갔어요.
T5 간접 조명 전체 교체 사례와 비용 | 송파구 잠실 엘스 아파트
※ 본 사례는 수리24 매니저와 고객 간의 상담 및 수리 진행 과정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의뢰 문제
💡
🏢수리 아파트 세대 정보 잠실 엘스 아파트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 99 5,678세대 · 총 72동 · 109.29/84.88㎡ |
이번 수리는 거실의 우물 천장에 설치된 간접 조명에 불이 들어오지 않는 상황을 겪고 있던 고객분의 의뢰로 시작되었습니다. 직렬 형태로 설치된 T5 조명 구역의 전체 크기(가로, 세로, 두께)를 확인한 후, 스펙에 맞는 T5 조명을 교체한 사례입니다.
보통 간접 조명은 형광등보다 안정적인 오랜 조명 수명을 가지고 있는 LED 조명으로 제작된 제품이 많습니다. 하지만 LED 조명은 기존 제품 사양, 조명이 설치된 형태(병렬, 직렬), 설치된 곳의 온도 · 습도에 따라 수명이 급속도로 줄어들기도 합니다.
🔎 문제 식별
LED 조명 노후화 및 수명 만료
수리 진행
⚠️
읽기 전 꼭 참고해 주세요.
모든 수리는 '손상이 진행된 현장 상태'에 맞춰 진행돼요. 같은 증상이어도 현장 컨디션에 따라 다른 방법으로 수리가 진행될 수 있어요.
1. 사전 준비
작업 전 전원 차단기(두꺼비집)를 필수로 내려 전기를 차단해 주세요.
새로운 LED T5 조명, 전원 케이블, 절연 테이프, 커넥터, 고정 클립 등 교체에 필요한 도구를 준비해 주세요.
2. 기존 조명 제거
기존 T5 조명을 고정하던 장치(브라켓 등)로부터 조명등 본체를 제거해 주세요.
천장, 벽면 등을 통해 나온 전선과 전선에 연결된 커넥터 또는 단자를 확인한 후, 안전하게 분리해주세요.
3-1. 새 T5 조명 설치 (*같은 케이블, 같은 제품을 사용할 경우)
기존 조명과 연결되어 있던 케이블에 새로운 T5 조명 케이블을 연결해 주세요.
3-2. 새 T5 조명 설치 (*다른 케이블을 사용할 경우, 기존 커넥터가 고장난 경우)
기존에 사용하던 케이블과 다른 케이블을 사용하는 T5 조명을 설치해야 한다면, 천장, 벽면 등을 통해 나온 전선에 새 T5 조명 본체와 동봉된 전원 케이블을 새로 연결해야 합니다.
천장, 벽면 등을 통해 나온 전선과 기존 전원 케이블을 제거해 주세요.
새로운 전원 케이블의 전선을 잘라 전선을 둘러싼 커버의 피복을 벗겨주세요.
기존 조명과 연결되어 있던 천장, 벽면 등을 통해 나온 전선과 새로운 전원 케이블을 절연 테이프 혹은 커넥터(클립)를 통해 연결해 주세요.
4. 고정 및 테스트
차단기를 올린 후, 스위치를 켜서 조명에 정상적으로 불이 들어오는 지 테스트해주세요.
조명을 단단히 고정해주세요.
(브래킷 방식은 브래킷에 본체 끼움 / 나사 고정 방식은 본체를 직접 고정)
평균 수리비는 어느 정도 나오나요?
평균 30만 원 정도의 금액이 수리비로 확정되고 있어요.
수리24에서 진행된 ‘LED T5 간접등 교체’ 수리는 평균 10개를 동시 교체하는 수리가 가장 많으며, 총 30만 원 근처에서 수리비가 평균적으로 확정되고 있어요.
🔎 ‘LED T5 간접 조명 교체’ 수리비는 어떻게 결정되나요?
수리 전문가 공임비 + 자재비
간접 조명 교체는 평균적으로 수리 전문가님의 공임비와 교체할 LED T5(300mm, 900mm, 1200mm 등) 자재비가 합산된 금액으로 수리비가 결정돼요.
LED 브랜드의 모델(ex. 오스람, 번개표, 비츠 등 …)에 따라 자재 단가가 조금씩 달라요.
수리 전문가님의 공임비는 경력과 기술력에 맞는 기술자 표준 공임으로 결정돼요.
LED 간접 조명 교체 전, 꼭 확인하세요.
1. ‘반드시’ 차단기를 내려주세요.
전기선을 다루는 작업을 할 땐, 안전 확보를 위해 분전함에 있는 차단기(두꺼비집)를 꼭 내려주세요. 차단기를 내리지 않고 임의로 스위치만 꺼둔 상태로 전기선을 건들 경우, 감전의 위험이 있습니다.
2. T5 조명이 어떻게 전원과 연결되고 있는지 확인해 주세요.
T5 조명은 주로 직렬, 병렬로 연결된 경우가 흔해요.
📌 직렬연결은 줄줄이 사탕처럼 전원선에 연결된 한 조명에 다른 조명을 이어서 차례로 연결하는 방식이에요.
직렬 연결은 최대 6개, 6m 미만으로만 연결하는 것이 좋아요.
직렬로 한 번에 많은 개수의 조명을 연결하면, 전원선과 직접 연결된 조명의 연결선에 지나친 부하와 발열이 생겨요. 이런 경우, 전선 과부하와 화재 위험이 생겨요.
📌 병렬연결은 콘센트처럼 여러 개의 조명을 각각 전원선에 따로 연결하는 방식이에요.
병렬 연결은 조명마다 전원을 독립적으로 받아요. 따라서 과부하 위험이 적어 대량 설치가 가능해요.
3. 원하는 조명 색깔이 있다면, 색 ‘이름’을 확인하세요.
하얀색, 노란색처럼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색깔 이름들이 있죠. 하지만 조명을 부르는 색깔 이름은 다르다는 점을 알고 계셨나요? 조명은 빛의 온도(켈빈, K 단위)에 따라 연출되는 느낌이 달라지기 때문에, 빛의 온도에 따라 더 세분화할 수 있는 색이름을 사용하고 있다고 해요.
주광색 : 새하얀 빛 / ex. 거실, 사무실에서 주로 사용
주백색 : 흰색과 노란색 사이의 빛
전구색 : 노란색 빛 / ex. 침실(안방)에서 주로 사용